Detailed Abstract
[Student/Resident Session]
[SR 2]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for beginner
JaRyung HAN
Daegu Catholic University
과거에는 담낭결석증의 치료에 있어 개복 담낭절제술이 유일한 일차적 치료법으로 시행되어 왔으나,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이 도입된 이후, 기술과 경험의 축적으로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개복 담낭절제술을 대신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인정 받았으며 개복 담낭절제술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미용 효과, 상처부위 통증 감소, 조기 퇴원 및 빠른 사회생활로의 복귀등의 장점으로 현재 담낭결석증에 대한 대부분의 담낭절제술은 복강경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제는 담낭결석의 일차적인 치료방법으로 여겨진다. 이후 장비와 술기의 발전에 힘입어 침습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고 최근에는 단일공 복강경 또는 로봇 담낭절제술도 선택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담낭절제술의 95% 이상은 최소침습수술로 시행되고 있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술후 전체 이환율은 3.1%, 사망률은 0.27%로 낮지만 담도손상을 포함한 심각한 합병증 발생률 또한 1.4%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술식으로 담낭 절제를 하더라도 안전한 시야확보를 첫번째로 하는 수술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기본 술기, 단일공 및 로봇 담낭 절제술, 급성 담낭염에서의 담낭절제술 및 합병증 발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 간담췌외과학 4판, 제 11장 담낭결석의 외과적 치료
SESSION
Student/Resident Session
Room C 3/25/2023 8:30 AM - 9:30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