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P Surgery Week 2023

Details

[Nurse Symposium]

[NURSE SY 4] Education for discharged patients after HBP surgery
Haesong LEE
Asan Medical Center

HBP 수술 후 퇴원 환자 교육 이해성 서울아산병원 간이식 간담도 외과 전문간호사 간, 담도, 췌장은 우리 몸에서 많은 기능을 갖고 있는 복잡하고 중요한 장기이다. 이곳에 생기는 질환은 대부분 생명하고 직결되는 경우가 많아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간담췌 수술 환자는 수술 전 상태뿐만 아니라 받게 되는 수술 종류도 다양하여 수술 후 고려하고 관리할 것 또한 많다. 그러므로, 간담췌 수술 환자를 돌보고 교육하는 간호사는 환자교육에 앞서 간담췌 질환과 수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야 한다. 먼저 간절제수술을 보면, 간절제 수술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암의 경우 HBV, HCV 같은 만성 간염 또는 간경화를 동반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술 전의 간의 상태와 잔존 간기능이 간절 제 수술을 정하는 데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고 수술 후 회복 과정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발생 가능한 합병증은 담즙 누출부터 호흡기계 합병증, 간기능 회복 지연, 일시적인 복수 발생, 출혈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일반적인 개복 수술과 관련된 상처감염이나 마비 성 장폐색, 복강내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특별한 합병증의 발생이 없다면 통상적으로 일주일 정도 경과하면 퇴원을 하게 된다. 퇴원 후 특별히 필요한 것은 간의 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주나 민간요법은 절대적으로 피해야한다. 그리고 간암의 경우 재발률이 높아 수술 후 초 기에는 2-3개월마다 그리고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추적관찰을 해야 한다. 또한 B형간염의 경우 항바이러스제 복용 대상은 꾸준히 복용해야한다. 담도암은 암이 생기는 위치에 따라 간내담도암, 간문부담도암, 그리고 원위부 담도암으로 나뉘어 환자상태에 따라 수술 범위도 방법도 다르고 다양한 수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수술 전 황달과 담도염이 발생할 수 있어 충분히 황달이 떨어지고 담도염 치료가 된 후 수술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항생제 치료와 함께 담도 배액관을 삽입하여 황달을 떨어뜨리면서 수술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또 대량 간절제가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 절제할 간쪽의 간문맥 색전술을 통해 수술 후 남을 간을 충분히 키운 후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수술 전에 담도 배액술이나 간문맥 색전술을 시행한 경우 일시적으로 퇴원을 할 수 있다. 이때 퇴원 후 관리를 관리를 잘 하여야 수술이 무사히 이루어 질 수 있다. 담도의 원위부나 췌장의 머리쪽, 바터팽대부 부위에 종양이 있는 경우는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 수술의 경우 복부 수술에서 가장 큰 수술 중 하나로 수술 직후부터 다양한 합병증들이 생길 수 있다. 수술 후 초기에는 출혈, 췌공장 문합부 누출, 농양, 국소복막염, 췌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문합부 협착이나 장운동 저하로 위배출 지연, 소화장애, 당뇨 등의 합병증이 발생 할 수 있다. 퇴원 후에도 발생 가능한 문제들이 있어 충분한 교육을 받고 대처 할 수 있어야 하고 관리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담도암 수술후에는 환자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지만 대부분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 치료 (항암제, 항암제+방사선치료)가 이루어진다. 수술 전부터 소화흡수 장애로 인해 영양이 부족하고 체력이 약해진 경우가 많아 체력과 영양상태를 잘 회복하여 추가 치료 또한 잘 이겨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간담췌 질환 환자는 같은 질환이라 해도 각각의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한 수술이 이루어 질 수 있어 수술 후 관리해야 할 부분들 또한 환자마다 다를 수 있는 것을 알고 퇴원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HBP 2023_NURSE_SY_4.pdf
SESSION
Nurse Symposium
Room C 3/24/2023 1:50 PM - 2:50 PM